일시 | 2024년 7월 21일 11:00 ~ 19:00 |
---|---|
장소 | 팀원 자택 |
참여자 | 전원 (김태완, 김희근, 석설호, 오현석, 한선주) |
2주차 활동 대표 사진
음향 컨트롤 1
음향 컨트롤 2
조명 세팅
조명 및 카메라 세팅
연기자 시점
구분 | 내용 |
---|---|
주제 | ChatGPT “영원한 우리 노예X 도우미O” |
레퍼런스 | https://www.youtube.com/watch?v=C-qXqJKIh1A |
상세 | 1편 - ChatGPT, 과제 해결 희망 편 |
2편 - ChatGPT, 식사 고민도 해결해줘요 편 | |
3편 - 남자친구도 반한 ChatGPT 편 | |
4편 - ChatGPT, 과제 해결 절망 편 |
순번 | 활동 내용 |
---|---|
1 | 촬영 장비 대여 |
2 | 기획안 디벨롭 및 소품 준비 |
3 | 기획한 4편 중 1편, 2편, 4편에 대한 촬영 진행 |
다음 회차 계획 |
---|
3편 - 남자친구도 반한 ChatGPT 편, 기획안 보완 후 촬영 진행 |
1편, 2편, 4편 편집 진행 |
김희근 - Color Correction |
오현석 - ChatGPT Face 3D Modeling |
김태완 / 한선주 - 3D Model Face Tracking |
석설호 - Compositon etc… |
팀원 | 소감 |
---|---|
김태완 | 역할을 트레킹과 컴포지팅 일부를 맡기로 하였다. 그러나 역할 분담이 실제 촬영전에는 잘 알지 못해서 애매모호했지만 실제 촬영에서는 잘 흘러갔던 것 같다. 실 촬영에서는 인공지능 역을 맡아 영상에 출연하였다. |
김희근 | <범고래 방생단> 기획 단계에서 인공지능ai 커미션 영상을 만들기로 계획하여, 섹시한 gpt에게 반하는 내용으로 1,2,3,4편을 기획하였습니다. 그리고 토요일 20일에 연출자이자 촬영감독으로 영상을 제작하였습니다. 시간이 부족하고 스토리보드를 목요일에 완성하여 촬영날 혼란을 겪고 역할 분담이 아쉬웠지만 결과적으로 잘 해나갔습니다. |
석설호 | 기본적인 조명 이론과 더불어 팀 촬영을 통해 단합력을 높일 수 있었고, 나아가 스타일 프레임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알 수 있었습니다. |
오현석 | ChatGPT 얼굴로 사용될 오브젝트를 디자인 및 모델링 하는 개인 활동과 더불어 21일 (일)에는 본격적인 촬영에 돌입했습니다. 개인 작품으로 3D 모델링을 진행한 적은 있지만, 제가 만든 오브젝트가 실제로 영상 합성에 활용된다고 하니 긴장되고 설레었습니다. |
실제로 영상에 활용될 모델이다 보니 디테일과 텍스쳐링에 조금 더 신경을 썼습니다. | |
3D 모델의 비율과 텍스쳐 변경이 필요할 것 같다는 피드백을 받아 다음 주차 활동 진행 전에 빠른 수정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촬영 현장에서 ‘배우’로서 참여했던 적은 있었는데, 이번 모각소 활동을 통해 스태프로서도 촬영 현장에 참여했습니다. | |
비록 제 진로와 실사 촬영과는 거리가 있지만 이번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과 경험을 얻어갔습니다. | |
한선주 | 다같이 한 기획에 연기자로서 참여하였다. |
AI가 나를 많이 도와준다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장면을 촬영하였다. 영화와 광고 영상 촬영의 방식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추후 3d 합성 이후에는 어떨지 기대된다 |